한국 리츠 상위 10 종목 5개년 분석 - 주가흐름과 배당흐름

도심속 빌딩들

한국 리츠 상위 10 종목 5개년 분석 - 주가 흐름과 배당 흐름

최근 금리 상승과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에도 리츠(REITs)는 꾸준히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한국 상장 리츠는 안정적인 배당과 장기적 자산가치 상승을 동시에 추구하는 상품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모든 리츠가 같은 흐름을 보이지는 않는다.
주가가 꾸준히 방어적인 종목이 있는가 하면, 배당수익률이 급등락을 반복하는 경우도 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상위 10개 리츠를 대상으로 최근 5년간 주가 흐름과 배당 흐름을 정리하였다.
투자자가 어떤 관점에서 종목을 바라봐야 할지, 향후 흐름까지 함께 짚어본다.


1. 상위 10개 한국 리츠 선정 기준

1). 시가총액·거래량 기준

01. SK리츠 (시총 1조4천억) / 21년 09월 상장
02. 롯데리츠 (시총 1조1천억) / 19년 10월 상장
03. ESR켄달스퀘어리츠 (시총 1조840억) / 20년 12월 상장
04. 한화리츠 (시총 7,000억) / 23년 03월 상장
05. 신한알파리츠 (시총 6,600억) / 18년 08월 상장
06. 제이알글로벌리츠 (시총 5,000억) / 20년 08월 상장
07.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시총 4,185억) / 20년 08월 상장
08. 삼성FN리츠 (시총 3,900억) / 23년 04월 상장
09. KB스타리츠 (시총 3,860억) / 22년 10월 상장
10. 디앤디플랫폼리츠 (시총 2,840억) / 21년 08월 상장

위 10개 종목은 한국 리츠 시장에서 꾸준히 거래량이 많고, 시가총액 규모도 상위권을 차지한다.

2). 분석 항목

- 최근 5개년 연말 기준 주가
- 연간 배당금 합계
- 연말 주가 대비 배당수익률


2. 주가 흐름 분석

1). 전반적 흐름

리츠 테마주는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있는 테마중 하나이지만,
리츠 주식중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종목은 보이지 않고 있다.

- 2021~2022년 : 코로나19 이후 유동성 장세로 주가 강세.
- 2022년 코로나 이후 : 금리 인상, 부동산 PF 리스크 확산으로 대부분 리츠 주가 하락.
- 2024~2025년 : 바닥권 진입 후 일부 리츠 회복세.

2). 종목별 특징

- SK리츠·롯데리츠 : 대체로 4천~6천 원 박스권. 안정적이지만 성장성은 제한적.
- ESR켄달·제이알글로벌리츠 : 해외 자산 편입 영향으로 주가 변동성 크다.
- 신한알파리츠 : 2024년 대규모 배당 이슈로 관심 집중, 주가 방어력은 중간 수준.
- KB스타리츠·디앤디플랫폼리츠 : 최근 2년간 주가 조정 심했지만 배당수익률은 높음.


3. 배당 흐름 분석

1). 평균 배당수익률

- 안정형 : SK리츠(5~6%), 롯데리츠(6~7%)
- 고배당 구간 : 제이알글로벌리츠(20% 이상), ESR켄달리츠(50% 이상)
- 특이 케이스 : 신한알파리츠(2024년 14%대 배당, 특별배당 반영)

2). 종목별 주요 포인트

- SK리츠 : 2023년 최고 배당수익률 7.8% 기록 후 안정세.
- 롯데리츠 : 꾸준히 6~7%대 유지, 안정적 투자처로 평가.
- ESR켄달스퀘어리츠 : 2022~2023년 이례적 초고배당, 이후 정상화.
- 한화리츠 : 2024년 배당수익률 9% 달성, 신흥 안정 리츠로 부상.
- 신한알파리츠 : 2024년 14% 배당으로 주목, 단발적 성격 강함.
- 제이알글로벌리츠 : 2022~2023년 고배당으로 투자자 몰림, 이후 배당 축소.
-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 꾸준히 6~10% 배당 유지.
- 삼성FN리츠 : 배당률 4~6% 수준, 안정적이나 눈에 띄는 매력은 부족.
- KB스타리츠 : 2023~2024년 9%대 배당, 최근 투자자 관심 확대.
- 디앤디플랫폼리츠 : 2022~2024년 평균 9% 전후, 고배당 투자처로 주목.

4. 투자자가 참고해야 할 포인트

1). 주가보다 배당 안정성

리츠 투자 목적의 핵심은 시세차익보다 배당을 통한 현금흐름이다.
따라서 배당 지급 이력이 안정적이고, 자산 가치가 탄탄한 리츠를 선택해야 한다.

2). 금리 사이클 영향

금리 인상기에는 리츠 주가가 약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금리 인하기에 접어들면 자금이 다시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

3). 자산 구성 차이

- 국내 오피스 중심 리츠 : 안정적이지만 성장성 제한.
- 해외 물류·오피스 리츠 : 환율, 경기 변수에 따라 변동성 큼.
- 인프라·특수 자산 리츠 : 안정성과 차별화된 배당 기대 가능.


5. 종목 별 주가 흐름과 배당흐름 요약

전반적으로 리츠 주식은 주가가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하락세에 비해 배당 수익률은 올라가는 추세다.
2025년은 상반기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1). SK리츠 (시총 1조4천억) / 21년 09월 상장

전반적으로 주가 방어를 집중적으로 하고 있다.
배당 수익률은 6~7% 사이를 지키고 있다.
년도 배당합계 연말주가 배당수익률
2021 123원 6,084원 2.02%
2022 273원 5,422원 5.04%
2023 314원 3,980원 7.89%
2024 264원 4,425원 5.96%
2025 136원 4,935원 2.76%

2). 롯데리츠 (시총 1조1천억) / 19년 10월 상장

배당 수익률은 6~7% 사이를 보이고 있으나,
주가 방어는 실패한듯 보인다.
년도 배당합계 연말주가 배당수익률
2021 298원 5,535원 5.38%
2022 306원 3,979원 7.69%
2023 204원 3,146원 6.48%
2024 215원 3,050원 7.05%
2025 112원(예상) 3,845 6.5%(예상)

3). ESR켄달스퀘어리츠 (시총 1조840억) / 20년 12월 상장

2022~2023년도의 배당수익률은 특별배당으로 확인된다.
다만, 배당소득으로만 놓고보면 주가흐름 대비 수익률이 저조하다고 볼 수 있다.
년도 배당합계 연말주가 배당수익률
2021 268원 6,295원 4.26%
2022 1,985원 3,968원 50.03%
2023 1,994원 3,630원 54.93%
2024 274원 4,231원 6.48%
2025 137원 4,405원 3.11%

4). 한화리츠 (시총 7,000억) / 23년 03월 상장

4천원대의 주가를 지키려는 모습이 눈에 띄며, 고배당에 속한다.
년도 배당합계 연말주가 배당수익률
2023 290원 4,846원 5.98%
2024 314원 3,480원 9.02%
2025 135원 3,935원 3.43%

5). 신한알파리츠 (시총 6,600억) / 18년 08월 상장

주가 흐름은 계속 하향세를 비추고 있다.
2024년 상반기 고배당 1회를 시행하였다.
년도 배당합계 연말주가 배당수익률
2021 341원 7,788원 4.38%
2022 387원 6,510원 5.94%
2023 376원 6,357원 5.91%
2024 817원 5,640원 14.49%
2025 173원 5,480원 3.16%

6). 제이알글로벌리츠 (시총 5,000억) / 20년 08월 상장

정기적 특별배당을 시행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주가 흐름은 하향세로 보인다.
년도 배당합계 연말주가 배당수익률
2021 1,057원 5,292원 19.98%
2022 990원 4,210원 23.52%
2023 1,080원 4,080원 26.47%
2024 390원 2,755원 14.16%
2025 115원 2,580원 4.46%

7).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시총 4,185억) / 20년 08월 상장

전반적으로 주가가 하향세를 띄고 있으나, 고배당주에 속하고 있다.
년도 배당합계 연말주가 배당수익률
2021 485원 6,394원 7.58%
2022 352원 5,359원 6.57%
2023 368원 5,149원 7.15%
2024 417원 4,085원 10.21%
2025 163원 4,300원 3.79%

8). 삼성FN리츠 (시총 3,900억) / 23년 04월 상장

안정적인 배당 소득을 얻을 수 있으나, 주가 흐름을 지속적으로 지켜 봐야한다.
년도 배당합계 연말주가 배당수익률
2023 197원 4,995원 3.94%
2024 274원 4,600원 5.96%
2025 142원 4,275원 3.32%

9). KB스타리츠 (시총 3,860억) / 22년 10월 상장

주가가 평이하게 움직이고 있고, 고배당주에 속한다.
년도 배당합계 연말주가 배당수익률
2023 353원 3,970원 8.90%
2024 376원 3,890원 9.66%
2025 180원 3,810원 4.72%

10). 디앤디플랫폼리츠 (시총 2,840억) / 21년 08월 상장

주가 회복세에 보이고 있으나, 지켜봐야하며, 고배당주에 속한다.
년도 배당합계 연말주가 배당수익률
2021 162원 5,348원 3.03%
2022 301원 3,372원 8.93%
2023 291원 3,164원 9.20%
2024 277원 2,945원 9.40%
2025 126원 3,210원 3.93%


결론 및 전망

한국 상장 리츠 10개 주요 종목의 5개년 데이터를 보면,
주가는 전반적으로 박스권 혹은 하락세를 보였지만, 배당 흐름은 종목별 차별화가 뚜렷했다.

- 안정형 투자자 : 롯데리츠, SK리츠
- 고배당 투자자 : KB스타리츠, 디앤디플랫폼리츠, 한화리츠
- 단기 이벤트성 고배당 : 제이알글로벌리츠, ESR켄달리츠, 신한알파리츠
- 주가 흐름 집중 종목 : 삼성FN리츠,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앞으로 한국 리츠 시장은 금리 하락 여부에 따라 투자 매력이 크게 달라질 것이다.
2025년 이후 금리 인하 사이클 후 주가 반등과 배당 안정성 강화가 동시에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 배당수익률도 중요하지만 주가가 내려가면 결국 자산이 내려가기 때문에,
주가 흐름을 기준으로 다음 아래의 종목을 추천해본다.

안정형 투자 추천 : 롯데리츠, 삼성FN리츠
고배당 투자 추천 : KB스타리츠, 한화리츠
이벤트 투자 추천 : ESR켄달리츠, 제이알글로벌리츠

리츠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히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안정성이다.
단기 고배당에만 눈이 멀지 말고, 장기적 관점에서 종목을 선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