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리츠주 비교 분석 - 떠오르는 배당주의 근본

리츠주식 국내 및 해외 비교


한국과 미국 리츠주 비교 분석 - 배당주의 근본

리츠는 건물에서 월세 받듯 배당받는 주식이다.

하지만 그걸 실감하는 건 오직 투자해본 사람의 몫이다.
요즘처럼 금리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시기, 많은 투자자들이 배당주에 관심을 갖는다.
정부도 관심을 기울이며, 정책에 대한 다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 중심엔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일명 ‘건물 임대 수익으로 배당을 받는 주식’이 있다.

그런데 왜 미국 리츠는 잘 나가는데 한국 리츠는 항상 외면받을까?
지금부터, 배당주의 근본 리츠를 한국과 미국으로 나눠 찬찬히 비교해보자.


1. 리츠(REITs), 다시 정의하자

리츠는 부동산에 투자해서 나오는 임대 수익을 배당으로 나눠주는 구조다.

한 마디로 월세 받는 기분을 주는 주식이다.

리츠 투자 대상은 다양하다.
오피스 빌딩, 물류, 호텔 등 여러 종목들이 존재한다.

다만, 리츠는 한국에서 부르는 건물주와 큰 차별점이
관리를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되며, 언제든 현금화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고, 부동산 직접 투자보다 접근성이 높다.


2. 한국 vs 미국 리츠 시장 규모 비교

1). 시가총액 TOP 5 비교 (2025년 7월 기준)


구분 한국 시총 미국 시총
1위 SK리츠 1.3조 American Tower 146조
2위 롯데리츠 1.1조 Prologis 139조
3위 ESR켄달스퀘어 0.9조 Equinix 102조
4위 한화리츠 0.7조 Simon Property 72조
5위 삼성FN리츠 0.4조 Realty Income 71조

※ 환율 : 1달러 = 1,379원 기준
※ 한국은 상장 리츠 25개 내외, 미국은 200개 이상

규모에서 이미 게임이 안 된다.
한국 리츠는 미국 리츠의 1/30 수준이다.


3. 최근 5년간 수익률 비교 (2019~2024)

1). 한국 리츠 주요 지수 (K-REITs Index)

- 2019~2021 : 보합
- 2022 : 기준금리 인상 이후 조정
- 2023~2024 : 횡보 또는 하락세

2). 미국 리츠 (FTSE NAREIT All Equity REITs Index)

- 2019~2021 : 코로나19 이후 급락 → 회복
- 2022 : 금리 영향으로 하락
- 2023~2024 : AI/데이터센터 리츠 중심 회복세

미국 리츠는 금리에 민감하지만 회복력도 빠르다.
반면, 한국 리츠는 회복에 시간이 더 걸린다.


4. 배당금 얼마나 주나?

1). 한국 리츠

- 한국 평균 배당 수익률 5~7%
- 한국 리츠가 배당률은 높은편에 속함
- 다만, 주가가 오르지 않는 문제가 발생
- 총수익률은 낮은편

2). 미국 리츠

- 미국 평균 배당 수익률 3~5%
- 미국 리츠는 배당률 보다 성장성이 함께 반영
- 은퇴 후 배당금으로 생활하는 문화도 자리 차지


5. 세금 제도 차이

1). 한국

- 배당소득세 : 15.4%
- 2천만원 초과시 종합과세 대상
- 분배율 90% 이상일 경우 법인세 면제

2). 미국

- 외국인 투자자 대상 배당소득세 30%
- 미국-한국 조세협약으로 15%로 감면
- 양도차익엔 미국에서 세금 없음 (한국에서 과세)

미국 리츠는 세금에 대한 불이익이 크지 않고, 구조적으로 투자자 친화적이다.


6. 왜 한국은 리츠가 비인기일까?

1). 부동산 수익성에 대한 의구심

- 상업용 부동산 경기 둔화
- 리츠주에 메인 건물 불포함
- 임대료 상승률 둔화

2). 구조적 한계

- 운용사의 수익 구조가 불투명
- 투자자 신뢰 부족 (운용보수, 내부자 매각 등)
- 잦은 유상증자

3). 낮은 유동성과 정보 부족

- 거래량 적고, 기업분석 리포트 부족
- 리츠 구조가 생소한 투자자 많음

4) 제도 미비

- 공모 리츠 활성화 정책은 있지만 여전히 규제 많음
- 부동산 경기와의 동조화


7. 리츠는 배당주의 ‘근본’일까?

리츠는 단순히 배당만 보는 주식이 아니다.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이며, 부동산 수익에 투자하는 길이다.
미국처럼 잘만 운용하면, 주가 상승 + 배당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건물 살 돈은 없지만 월세 받을 권리는 있다.
리츠는 그 권리를 주식으로 쪼개 파는 장치다.


결론 - 마무리 요약

- 미국 리츠는 규모, 다양성, 회복력에서 우월
- 한국 리츠는 배당은 높지만 주가 변동성과 유동성의 한계
- 향후 제도 개선과 운용 투명성이 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