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부자되는 확률은 어느정도 일까? - 적금과 비교

주식과 적금 비교

주식 부자되는 확률은 어느정도일까?

적금과 비교해보면 의외의 결과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면, 보상도 없다.
by 워런 버핏

10년 뒤, 당신의 돈은 얼마나 불어날까? 누구나 부자가 되고 싶다.

그 중 가장 많이 하는 고민은 ‘주식을 해야 할까, 아니면 그냥 적금만 할까’이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수치를 바탕으로, 10년간 주식과 적금의 수익률을 비교하고, 주식으로 부자될 확률은 어느 정도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적금과 예금, 10년 뒤 얼마나 늘어날까?

우선 기본적인 전제부터 살펴보자.
2025년 기준 시중은행의 적금 금리는 연 3% 안팎이다.

물론 우대 금리나 이벤트 상품을 이용하면 조금 더 높일 수 있지만, 보수적으로 연 3%로 계산해보자.

1). 10년간 적금 수익률 계산 (월 50만 원씩 저축)

월 저축 : 50만 원
연이율 : 3%
기간 : 10년
총 납입액 : 6,000만 원
최종 수령액 (복리 기준) : 약 6,960만 원
이자 수익 : 약 960만 원

안정성은 높지만, 실질 수익은 제한적이다.


2. 주식 투자, 10년간 평균 수익은?

주식은 단기적으로 오르락내리락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한다는 것이 역사적 통계다.
미국 S&P500 기준, 연평균 수익률은 약 10%, 한국 코스피는 보수적으로 7% 수준이다.

1). 10년간 주식 투자 수익률 계산 (월 50만 원씩 투자)

월 투자 : 50만 원
연평균 수익률 : 1.9% (한국 주식 연평균 상승률)
기간 : 10년
총 투자액 : 6,000만 원
최종 수익 예상액  : 약 6,596만 원
수익 : 약 596만 원

적금보다 수익이 적으며, 한국 주식은 장기투자 매력도가 낮다.


2). 해외 주식 기준이었다면?

월 투자 : 50만 원
연평균 수익률 : 7% (미국 주식 연평균 상승률)
기간 : 10년
총 투자액 : 6,000만 원
최종 수익 예상액  : 약 8,630만 원
수익 : 약 2,630만 원


3. 그렇다면, 주식으로 부자 될 확률은?

여기서 중요한 건 단순한 수익률이 아니라 ‘부자’가 될 확률이다.
단순히 수익만 보면 주식이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현실적인 변수가 존재한다.

1). 주식이 불리한 이유

이유 1. 심리적 요인
하락장에서 손절하는 경우가 많다

이유 2. 타이밍 실패
고점 매수, 저점 매도

이유 3. 무계획 투자
- 감정적 매매

이유 4. 단기 수익 집착
- 장기 복리의 힘을 경험 못 함


즉, 수익률만 보면 부자 될 가능성은 높지만, 실제로 그렇게 되는 사람은 의외로 적다.
주식 투자자 중 장기적으로 시장 수익률을 따라가는 사람은 20~30% 수준이라는 분석도 있다.


4. 부자될 확률을 높이려면?

“확률 게임”에서 이기기 위해선 전략이 필요하다.


1). 성공적인 주식 투자 원칙

Step 1. 장기 투자
- 최소 10년 이상 보유

Step 2. 분산 투자
- ETF, 우량주 중심

Step 3. 자동 이체
- 감정 개입 최소화

Step 4. 리밸런싱
- 1년에 1~2회 점검

Step 5. 무시 전략
- 시장 소음은 무시하자


결론 : 당신은 어떤 투자 성향인가?

비교 항목 적금 주식
수익률 연 2~6% 연 2~10%
안정성 매우 높음 중간 ~ 매우 낮음
변동성 점진적 증가 매우 큼
자산 증가 속도 점진적 증가 매우 빠름
감정 개입 없음 매우 높음


결론적으로,

수익률만 보면 주식이 유리하지만, 실제 부자가 되는 확률은 투자자의 태도에 달려 있다.